센서타워가 Video Game Insights(VGI)를 인수했습니다!
센서타워 스토어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023년 3월 이후 《쿠팡이츠》의 일일 활성 사용자 수(DAU)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2024년 3월 31일 최고치에 달했습니다. 이는 2021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였습니다(구글 플레이 스토어 및 애플 앱스토어 통합 추정치).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쿠팡이츠》는 2023년 3분기부터 2024년 1분기까지 한국 시장 음식 및 음료 앱 중 일일 활성 사용자 수 성장 1위에 오르는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같은 기간, 동일 카테고리에서 성장이 아닌 절대적 수치로 순위를 보면 《배달의 민족》이 1위, 그리고 《요기요》가 2위 자리를 지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각 앱과 《쿠팡이츠》의 격차는 점차 좁혀지고 있는데요.
2023년 3월, 《배달의 민족》과 《요기요》의 평균 일일 활성 사용자 수는 《쿠팡이츠》 보다 약 7배, 2배 더 높았습니다. 하지만 2024년 3월에 들어 《쿠팡이츠》와 《배달의 민족》의 격차는 4.5배까지 줄어들었습니다. 그리고 3위 《쿠팡이츠》와 2위 《요기요》는 약 3만이라는 근소한 차이만을 보이고 있습니다.
쿠팡은 ‘와우 멤버십’ 가입자에게 자사 서비스 이용에 다양한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2023년 4월, 서울 일부 지역에 ‘와우 멤버십’ 가입자에 한해 《쿠팡이츠》 배달비를 5~10% 할인해 주는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적용 지역은 점차 확대되어 쿠팡은 지난 2024년 3월 26일, ‘와우 멤버십’ 가입자는 《쿠팡이츠》에서 무제한으로 무료 배달을 즐길 수 있다는 획기적인 서비스 제공을 발표했습니다.
《쿠팡이츠》 무료 배달 서비스 제공은 일일 활성 사용자 수의 급증을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신규 사용자를 상당수 획득하는 데도 큰 역할을 했습니다. 2024년 3월 31일 《쿠팡이츠》는 일일 다운로드 수 약 2만 건으로 2022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경신했습니다.
쿠팡은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기 위해 다양한 협업도 전개했는데요. 《쿠팡이츠》가 고용노동부, 현대오일뱅크와 함께 진행한 ‘안심 배송’ 캠페인이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또한, 《쿠팡이츠》는 전통시장과의 상생을 위해 힘쓰는 전통시장 활성화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적 파트너십은 《쿠팡이츠》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했으며 공익을 위한 쿠팡의 노력도 강조했습니다.
센서타워 오디언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유연한 결제자’, ‘딜리버리 다이너’, ‘도매 쇼핑객’이 《쿠팡이츠》의 상위 페르소나에 속했는데요. 《배달의민족》의 상위 페르소나는 ‘딜리버리 다이너’, ‘라떼 애호가’, ‘파인 다이너’, 그리고 《요기요》의 상위 페르소나는 ‘딜리버리 다이너’, ‘패스트푸드 애호가’, ‘홈 요리사’였습니다. 다시 말해, 경쟁사의 상위 페르소나가 ‘음식’과 연관된 것과는 달리 《쿠팡이츠》는 좀 더 다양한 페르소나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더 나아가 각 앱의 오디언스들이 일반 인구 대비 더 많이 사용하는 앱을 분석해 보면 흥미로운 패턴이 드러납니다. 《쿠팡이츠》 오디언스는 일반 인구 대비 《폴센트》와 《한전ON》 등의 앱 사용이 419%, 412% 더 높았습니다. 상위 10개 앱 중 배달 서비스 앱으로는 《땡겨요》가 유일했다는 점이 눈에 띄었습니다.
《배달의민족》 오디언스들이 일반 인구 대비 더 많이 사용하는 상위 10개 앱 중 5개가 《BBQ 치킨》, 《엽기떡볶이》 등과 같이 음식점 자체 주문 및 배달 앱 또는, 《해피오더》와 같이 일반 배달 앱에 속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요기요》 오디언스도 상위 10개 앱 중 5개가 배달 앱이 차지하고 있어, 《쿠팡이츠》 비교했을 때 《배달의민족》와 《요기요》 오디언스들의 배달 앱에 대한 높은 선호도를 보여줍니다.
다시 말해 《쿠팡이츠》 사용자는 다양한 페르소나 군을 포함하고 있으며 음식 배달을 위해 《쿠팡이츠》에 크게 의존하는 반면, 《배달의민족》와 《요기요》 사용자는 음식 관련 페르소나 군에 속하며 다른 배달 앱을 많이 사용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를 통해 《배달의민족》와 《요기요》 사용자는 다양한 음식을 탐색하는 데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쿠팡이츠》 사용자는 배달앱 사용량이 가장 높은 시간대인 오후 6시에 경쟁사 대비 소비 시간이 가장 높습니다. 또한, 그다음 높은 시간대인 오후 5시, 오후 12시, 오전 11시에도 가장 높은 소비 시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배달 앱 사용이 가장 활발한 시간대에 경쟁사들을 제치고 사용자를 사로잡을 수 있는 《쿠팡이츠》의 능력을 보여줍니다.
‘와우 멤버십’을 구독하는 사용자는 쿠팡의 대표 서비스인 이커머스 플랫폼 《쿠팡》에서 무료 배송 및 반품, OTT 플랫폼 《쿠팡플레이》 무료 이용, 《쿠팡이츠》 무료 배송 등을 모두 즐길 수 있습니다. 쿠팡은 ‘와우 멤버십’으로 사용자를 쿠팡 서비스에 묶어 두는 락인(Lock-In) 효과 전략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센서타워 사용량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세 앱 모두 눈에 띄는 상승 궤도를 그리고 있는데요. 2023년 1분기와 2024년 1분기를 비교해 보면 《쿠팡》, 《쿠팡이츠》, 《쿠팡플레이》의 평균 일일 활성 사용자 수는 각각 11%, 63%, 107% 증가라는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보였습니다. 쿠팡은 ‘와우 멤버십’을 통해 쿠팡 생태계를 지속해서 확장 및 성장시키고 있습니다.
센서타워 스토어 인텔리전스 사용자는 이전 성과 지표와 더불어 앱 수익 및 다운로드 수 추정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센서타워가 제공하는 수익 추정치는 App Store 및 Google Play를 통합한 수치입니다.
한국 및 기타 국가의 제3자 안드로이드 마켓과 관련된 데이터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App Store 또는 Google Play 계정의 최초 다운로드만을 집계합니다. 다른 디바이스이지만 동일 계정으로 다운로드했거나, 같은 디바이스에서 중복으로 다운로드 한 것은 집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한, 동일한 App의 다른 버전(예: Facebook과 Facebook Lite)을 통합하여 집계합니다.
모바일 앱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위한 나침반이 되어주는 센서타워
미디어 협업 문의 press-apac@sensortower.com
비즈니스 협업 문의 sales@sensortower.com
콘텐츠 공유 시에는 출처를 [센서타워]로 꼭 표시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