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타워가 Playliner를 인수했습니다!

블로그

Mobile App Insights · Web Insights · Yena You · November 2025

한국, 전 세계 《챗GPT》 다운로드당 매출 2위… 1위 미국과는 0.1달러 차이

《챗GPT》는 오픈AI가 2022년 11월 출시한 이후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대중화된 AI 서비스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어 2023년 2월 유료 버전인 ChatGPT Plus가 도입되면서 고급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층이 빠르게 확대됐고, 구독 기반 사용 또한 본격적으로 성장했습니다. 특히 기술 수용도가 높은 한국 시장은 출시 초기부터 핵심 성장 거점으로 작용하며 《챗GPT》의 글로벌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ChatGPT_Cover Image

한국, 매출 비중 전 세계 2위… 다운로드당 매출은 미국과 단 0.1달러 차이

센서타워 앱 퍼포먼스 인사이트 데이터에 따르면 《챗GPT》 앱의 전 세계 누적 다운로드는 14억 건을 돌파했습니다. 국가별 다운로드 비중을 보면 인도가 15.7%로 가장 높았고, 한국은 1.5%로 21위에 머물렀습니다.

그러나 매출에서는 완전히 다른 양상이 나타납니다. 누적 매출 35억 달러 중 미국이 약 13억 달러(35.4%)로 1위를 차지했고, 한국은 약 2억 달러(5.4%)로 전 세계 2위에 올랐습니다.

한국의 다운로드당 매출(RPD)은 8.7달러로 미국(8.8달러)과 단 0.1달러 차이에 불과해, 다운로드 규모 대비 지불 의향이 가장 높은 시장 중 하나임을 보여줍니다.

ChatGPT_Chart 1

2025년 들어 한국에서의 성장세는 더욱 뚜렷해졌습니다. 다운로드는 8월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고, 매출은 10월에 다시 한 번 정점을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챗GPT》는 2025년 한국 앱 시장 전체에서 다운로드 1위, 매출 4위를 기록했습니다. 특히 매출 상위권이 모두 게임 앱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비게임 앱인 《챗GPT》의 4위는 더욱 두드러진 성과입니다.

ChatGPT_Chart 2

AI 어시스턴트 카테고리에서는 성과가 더욱 뚜렷합니다. 다운로드, 매출, 일일 활성 사용자 모두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다운로드는 2위인 《Gemini》 대비 3배, 일일 활성 사용자는 8배 이상, 매출은 《Claude》 대비 10배 이상 앞서며 큰 격차를 보였습니다.




웹에서도 확인되는 압도적 존재감… 전통 검색 엔진 사이에서 5위에 오른 AI 서비스

센서타워 웹 인사이트 데이터에 따르면 《챗GPT》는 앱뿐 아니라 웹에서도 강력한 존재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월간 방문 수 기준으로 《챗GPT》는 《유튜브》, 《네이버》, 《구글》, 《다음》에 이어 전체 5위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검색 엔진 중심의 상위 구도 속에서 AI 기반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자리를 잡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한국의 정보 탐색 방식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ChatGPT_Chart 3

방문자 1인당 월 평균 체류 시간 역시 인상적입니다. 《챗GPT》의 평균 체류 시간은 367분으로, 2위인 《네이버》 대비 약 1.7배에 달했습니다. 이는 단순 검색이나 질문을 넘어 문서 작성, 기획, 분석 등 다양한 생산성 활동이 장시간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다시 말해 한국 사용자에게 《챗GPT》는 더 이상 검색 도구가 아니라 일상적인 작업 공간으로 자리매김했음을 반영합니다.

유입 경로를 보면, 《챗GPT》는 전체 방문의 90%가 직접 방문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Gemini》, 《Perplexity》, 《Wrtn》 등 경쟁 서비스는 유료 광고나 검색 기반 유입 비중이 상대적으로 훨씬 높았습니다. 이는 한국에서 《챗GPT》가 더 이상 검색해서 들어가는 서비스가 아니라, 바로 접속하는 습관적 도구이자 브랜드 자체가 트래픽을 견인하는 단계에 도달했음을 보여줍니다.




광고, 프로모션, 일상 활용이 이끈 한국 시장의 가속 성장

센서타워 디지털 광고 인사이트에 따르면 오픈AI는 2025년 10월 한국에서 《챗GPT》 광고를 역대 최대 규모로 집행했습니다. 상위 광고 소재는 《챗GPT》가 실제 생활 속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를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유형이 중심이었습니다. 장 본 식재료 사진을 업로드하면 15분 안에 만들 수 있는 저녁 메뉴를 추천해주는 영상은, 학업과 업무를 넘어 일상에서의 활용성을 강조하며 높은 반응을 이끌어냈습니다.

ChatGPT_Top Creative

여기에 금융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한 AI 플랫폼 구독 캐시백 프로모션은 신규 구독의 진입 장벽을 크게 낮췄습니다. GPT-5.1을 포함한 지속적인 기능 업데이트도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며 유료 전환 가속화의 핵심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센서타워 오디언스 인사이트는 한국 사용자 구성의 뚜렷한 특징을 보여줍니다. '호텔 호퍼', '빈번한 렌터카 이용자', '파인 다이너', '다이어터', '디지털 연애족' 등 라이프스타일 중심의 페르소나가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반면 미국에서는 '암호화폐 투자자', '긱워커' 등 투자 및 기술 중심 소비자가 주요 페르소나로 나타났습니다.

이 차이는 한국 사용자가 《챗GPT》를 단순한 정보 탐색이나 기술적 작업을 넘어, 일상 최적화, 편의성 향상, 개인 생산성 증대에 적극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생활 중심 사용 패턴은 높은 다운로드당 매출로도 이어졌으며, 한국에서 《챗GPT》가 지불할 가치가 있는 실용적 도구로 자리 잡았음을 반영합니다.




센서타워 앱 퍼포먼스 사용자는 이전 성과 지표와 더불어 앱 수익 및 다운로드 수 추정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센서타워가 제공하는 수익 추정치는 App Store 및 Google Play를 통합한 수치입니다.

한국 및 기타 국가의 제3자 안드로이드 마켓과 관련된 데이터는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App Store 또는 Google Play 계정의 최초 다운로드만을 집계합니다. 다른 디바이스이지만 동일 계정으로 다운로드했거나, 같은 디바이스에서 중복으로 다운로드 한 것은 집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또한, 동일한 App의 다른 버전(예: Facebook과 Facebook Lite)을 통합하여 집계합니다.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을 위한 나침반이 되어주는 센서타워

공식 한국어 페이스북 페이지

미디어 협업 문의 press-apac@sensortower.com

비즈니스 협업 문의 sales@sensortower.com

콘텐츠 공유 시에는 출처를 [센서타워]로 꼭 표시해 주세요.


데모 버전을 신청하고 센서타워에서 모바일 앱 인사이트를 확인하세요


Yena You

Written by: Yena You, Insights Strategist

Date: November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