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타워가 Playliner를 인수했습니다!
센서타워의 앱 퍼포먼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FUNFLY의 《라스트 워: 서바이벌》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익을 올린 게임 1위를 차지했습니다. 그 뒤를 《모노폴리 고!》가 2위, 《화이트아웃 서바이벌》이 3위에 올랐고, 《아너 오브 킹즈》와 《로얄 매치》가 각각 4위와 5위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라스트 워: 서바이벌》은 7월 4일 연휴를 앞두고 공격적인 사용자 획득 캠페인에 힘입어 7월 매출 순위 1위를 기록했습니다. 퍼블리셔는 주요 시장에서 광고를 확대하고, 인기 캐릭터를 위한 프리미엄 외형 업그레이드를 포함한 시즌 4를 선보였습니다. 이러한 시기적절한 업데이트와 게임 내 프로모션은 플레이어의 관심과 설치 수를 급격히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아너 오브 킹즈》는 강력한 게임 내 콘텐츠 파이프라인과 시즌 40의 성공적인 출시에 힘입어 7월 매출 순위 4위를 기록했습니다. 이번 업데이트에서는 손권, 조조, 유비 등 신규 및 업그레이드된 영웅과 진영 기반 게임 메커니즘이 추가되어 유저 참여도를 높였습니다. 또한, 이달 중순에는 기간 한정으로 출시된 Yun Ying x Ruby로 인해 인앱 구매가 급증했고, 새로운 Doria 스킨 출시로 월말까지 플레이어 모멘텀과 수익 창출을 지속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매출 상위 10개 모바일 게임의 전체 순위는 위 차트를 참조하세요. 제3자 Android 마켓 데이터는 포함되지 않았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5년 7월 App Store와 Google Play를 통한 전 세계 소비자의 모바일 게임 소비자 지출은 약 71억 달러로, 전월 대비 6.9% 증가했습니다. 미국은 약 23억 달러(점유율 32%)로 여전히 가장 높은 수익을 기록한 시장이었으며, 중국(iOS 기준)이 15%, 일본이 12.6%로 그 뒤를 이었습니다.
《붕괴: 스타레일(Honkai: Star Rail)》은 7월 글로벌 매출 성장을 주도하며 전체 매출 순위에서 40계단 상승해 8위를 기록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7월 1일 출시된 3.4 버전 업데이트 덕분으로, 신규 캐릭터 Phainon과 인기 애니메이션 시리즈 페이트/스테이 나이트(Fate/stay night)와의 기간 한정 크로스오버 이벤트가 포함되었습니다. 신선한 콘텐츠와 브랜드 간 매력의 결합은 한 달 내내 플레이어 지출을 크게 증가시키는 데 기여했습니다.
《드래곤볼 Z 폭렬격전(Dragon Ball Z: Dokkan Battle)》도 매출이 크게 급증하며 전 세계 매출 성장 2위를 기록했고, 전체 순위는 169계단 상승해 25위를 차지했습니다. 초사이어인 갓 SS 오공, 베지터, 오공 블랙(초사이어인 로제), 자마스 등 LR 캐릭터를 집중 조명한 DOKKAN Festival과 Legendary Summon Carnival 배너를 포함한 Global Dokkan Campaign 2025이 급등세를 이끌었습니다. 이러한 프리미엄 소환 이벤트는 7월 8일 첫날에만 350만 달러 이상의 수익을 기록하며 플레이어의 높은 지출을 견인했습니다.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Uma Musume: Pretty Derby)》는 7월 전 세계 매출 성장 순위 5위를 기록하며, 전체 순위는 40계단 상승한 27위에 올랐습니다. 이 모바일 게임은 7월 중순 일본 외 지역 유저를 겨냥해 현지화된 콘텐츠와 보상을 제공한 Brand New Friends 이벤트 출시 이후 큰 폭의 성장을 보였습니다. 특히, 인기 SSR 지원 카드인 Kitasan Black과 Satono Diamond가 포함된 고가치 가챠 배너가 미국, 캐나다, 영국 등 주요 시장에서 강력한 수익 창출을 이끌었습니다.
《로블록스(ROBLOX)》는 2025년 7월에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모바일 게임 1위 자리를 다시 차지했습니다. 《블록 블라스트!(Block Blast!)》는 2위를 유지했고, 《프리 파이어(Free Fire)》,《서브웨이 서퍼(Subway Surfers)》, 《Tile Explorer - 트리플 매치(Tile Explorer - Triple Match》가 각각 3위에서 5위를 차지했습니다.
《로블록스》는 일련의 유명 브랜드 이벤트에 힘입어 7월 전 세계 다운로드 순위 1위를 기록했습니다. 주요 성장 동력으로는 넷플릭스와 공식 협업한 오징어 게임: 파이널 게임(Squid Game: The Final Games)과 2025년 윔블던 챔피언십을 기념해 공개된 기간 한정 경험 Wimbledon: Tennis Showdown이 꼽힙니다. 또한 2,100만 명이 넘는 동시 접속자를 기록한 Grow a Garden의 바이럴 인기로 주요 시장에서 설치 수가 증가하며, 누적 다운로드 수는 14억 7,000만 건을 돌파했습니다.
《블록 블라스트!》는 7월 전 세계 다운로드 순위에서 전달보다 한 단계 하락한 2위를 기록했습니다. HungryStudio의 블록 기반 퍼즐 게임은 하이퍼캐주얼 디자인과 직관적인 게임플레이에 힘입어 미국, 인도네시아, 인도 등 주요 대규모 시장에서 꾸준히 좋은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누적 다운로드 수가 5억 5,000만 건을 돌파한 이 게임은 테이블탑에서 영감을 받은 단순한 메커니즘과 미니멀한 아트 스타일로 폭넓은 모바일 오디언스에게 지속적으로 매력을 발휘하고 있습니다.
《서브웨이 서퍼》는 7월 전 세계 다운로드 순위에서 4위를 유지하며, 2012년 출시 이후 꾸준한 인기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Miniclip이 선보인 이 무한 러너 게임은 인도, 미국, 브라질에서 여전히 뛰어난 성과를 기록 중입니다. 지속적인 콘텐츠 업데이트와 시즌별 캠페인은 플레이어 참여도를 유지하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누적 다운로드 수가 26억 건을 넘어섰고, 소비자 지출액 또한 2억 달러를 돌파하며, 이 게임은 캐주얼 모바일 게임 시장의 대표작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2025년 7월 전 세계 모바일 게임 다운로드는 약 43억 1,000만 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했습니다. 인도가 전체의 15.6%에 해당하는 6억 7,300만 건으로 가장 많은 다운로드를 기록했으며, 미국(7.3%)과 인도네시아(5.7%)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마이토킹톰 프렌즈 2(My Talking Tom Friends 2)》는 7월 전 세계 다운로드 성장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다운로드 순위에서도 11위로 도약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Outfit7이 선보인 이 후속작은 가상 반려동물 돌보기, 미니게임, 샌드박스 스타일의 상호작용, 그리고 캐릭터 간 실시간 사회적 상호작용을 결합해 기존 토킹톰 공식을 새롭게 재해석했습니다. 깊이와 상호작용성이 강화되면서 프랜차이즈는 현대적으로 재탄생해 기존 팬은 물론 신규 플레이어까지 끌어들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또한 생동감 넘치는 2D 만화풍 비주얼과 감정에 반응하는 캐릭터는 특히 인도, 브라질, 멕시코 등 모바일 중심 시장의 하이퍼캐주얼 오디언스에게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Survival Escape: Session 3》는 7월에 큰 폭의 상승세를 보이며 전 세계 다운로드 성장 순위 6위를 기록했습니다. Netflix가 퍼블리싱한 이 게임은 오징어게임(Squid Game) 프랜차이즈를 둘러싼 새로운 화제를 적극 활용했으며, 설치 수 급증 시기는 오징어게임 시즌 3의 전 세계 공개와 맞물렸습니다. 게임 쇼 스타일의 도전 과제를 담은 배틀로얄 경험으로 설계된 이 타이틀은 상징적인 장면들을 대화형 3D 만화 형식으로 생생하게 재현합니다.
전반적으로 7월 전 세계 모바일 다운로드 트렌드는 오늘날 역동적인 시장에서 성공을 이끄는 다양한 전략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로블록스》의 브랜드 콘텐츠 파트너십과 기간 한정 이벤트부터 《서브웨이 서퍼》의 꾸준한 인기, 《마이토킹톰 프렌즈 2》의 혁신에 이르기까지, 주요 게임들은 친숙한 IP에 새로운 경험을 결합하는 전략의 힘을 입증했습니다. 하이퍼캐주얼 게임 메커니즘, 향수를 자극하는 재해석된 콘텐츠, 또는 《오징어 게임: 모바일 서바이벌》처럼 시의적절한 시점에 맞춘 출시 등, 어떠한 접근 방식이든 접근성과 몰입도 높은 게임플레이를 통해 주요 시장에서 주목받은 게임이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센서타워의 앱 퍼포먼스 인사이트를 통해 위 게임 타이틀에 대한 더욱 자세한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확인해 보세요. 링크가 설정된 ‘데모 요청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저희 팀과 미팅을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을 위한 나침반이 되어주는 센서타워
미디어 협업 문의 press-apac@sensortower.com
비즈니스 협업 문의 sales@sensortower.com
콘텐츠 공유 시에는 출처를 [센서타워]로 꼭 표시해 주세요.